운영계획

수성인문학@Suseong은 범어도서관 10개년(2020~2029) 인문특화프로그램으로 인문고전을 비롯하여 자연과학, 기술과학 및 예술 등의 '융합인문학'을 주제로 진행됩니다. 2023년에는 고전 텍스트를 중심으로 근대화 현대시대 '고전' 작품을 통해 현대사회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찾을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.
2023년 수성인문학@SUSEONG
- 일시 : 3. 8. ~ 12. 6. 매주 수요일 오후2시~4시
- 장소 : 범어도서관 김만용박수년홀(지하1층)
- 내용 : 근대·현대시대 고전 작품 강연
세부일정
주제 | 월 | 세부주제 | 강사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근 현 대 |
상 반 기 |
3월 | 03/08 | 마크 트웨인<허클베리 핀> : 19세기 중후반의 미국과 마크 트웨인 |
윤교찬 한남대 영어교육과 |
||
03/15 | 존 롤즈<정의론> : 롤즈 철학에서의 정의와 평등의 문제 |
성창원 고려대 철학과 |
|||||
03/22 | 에릭 홉스봄<극단의 시대> : 좌파 역사가의'불확실한'단기20세기 이야기 |
김건우 경북대 사학과 |
|||||
03/29 | 최인훈<광장> : 근대와 개인,중립국을 찾아 떠도는 오래된 항해일지 |
배지연 대구대 인문과학연구소 |
|||||
4월 | 04/05 | 오에 겐자부로<만엔 원년의 풋볼> : 어려운 작가 오에 겐자부로,쉽게 읽어보기 |
조헌구 경북대 일어일문학과 |
||||
04/12 | 정인보<양명학연론> | 홍원식 계명대 철학윤리학과 |
|||||
04/19 | 헤르만 헤세<유리알 유희> : 21세기 인문학의 통일장을 위하여 |
이경규 계명대 교양교육대학 |
|||||
04/26 | 프란스 드발<차이에 관한 생각> | 최종덕 상지대 교양학부 |
|||||
5월 | 05/03 | 토마스 쿤<과학혁명의 구조> : 과학은 어떻게 발전하는가?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한 혁명으로 |
이영의 고려대 철학과 |
||||
05/10 | 박완서<나목> : 전쟁,그리고 엄마와 딸의 이야기 |
김은정 경남대 교양융합대학 |
|||||
05/17 | 양계초<구유심영록(歐游心影錄)> : <구유심영록>을 통해 본 양계초의 중국과 세계 인식 |
김하림 경북대 사학과 |
|||||
05/24 | 모종삼<심체와 성체> : 성리학의正宗과大宗논쟁 |
황갑연 전북대 철학과 |
|||||
05/31 | 톨스토이<부활> : 일상의 삶으로부터,익숙한 것으로부터 부활하라 |
윤영순 경북대 노어노문학과 |
|||||
6월 | 06/07 | 간디 : 갈색 신사에서 인도의 아버지로 거듭나다! |
강명남 한국외대 인도연구소 |
||||
06/14 | 장 폴 사르트르<문학이란 무엇인가> : 문학으로 구현된 사르트르의 실존철학 |
박치완 한국외대 철학과 |
|||||
06/21 | M.바흐친<도스또예프스끼 시학> | 이강은 경북대 노어노문학과 |
|||||
06/28 | 김세정<유가생태철학> : 생태 위기 시대,돌봄과 공생의 유가생태철학 |
김세정 충남대 철학과 |
|||||
7월 | 07/05 | 마크 베코프<동물 권리 선언> : 동물은 어디까지 보호받아야 하는가? |
문성학 경북대 윤리교육과 명예교수 |
||||
07/12 | 아도르노<부정변증법> : 경험의 반란과 변증법적 사유 |
이병탁 경운대 교양교육학부 |
|||||
07/19 | 좌담회 아버지의 해방일지-정지아 작가 | 사회 양진오 교수 대구대 한국어문학과 |
|||||
하 반 기 |
8월 | 8/2 | 가르시아 마르케스 <백년의 고독> : 고독의 역사와 ‘백년의 고독’ |
신정환 한국외대 스페인어통번역학과 교수 |
|||
8/9 | 다자이 오사무 <인간실격> : 내면의 불안과 죄의식 |
박승주 대구하루 대표 |
|||||
8/16 | 리처드 도킨스 <이기적 유전자> : 이타성의 진화는 어떻게 가능한가? |
정동욱 경상대 철학과 교수 |
|||||
8/23 | 이동하, <장난감 도시>와 전후 대구 | 양진오 대구대 문화예술학부 교수 |
|||||
8/30 | 고염무 <일지록> | 윤대식 한국외대 미네르바교양대학 교수 |
|||||
9월 | 9/6 | 김충열 <천인화해론> | 박원재 율곡사상연구원 |
||||
9/13 | 가즈오 이시구로 <남아 있는 나날> | 박종성 충남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|
|||||
9/20 | 제레미 리프킨 <엔트로피> | 이형철 경북대 물리학과 교수 |
|||||
9/26 | 칼 포퍼 <열린사회와 그 적들> : 이성의 힘과 한계, 그리고 민주주의 |
박준호 전북대 철학과 교수 |
|||||
10월 | 10/4 | 오노레 드 발자크 <13인당 이야기> : 굴곡진 역사의 현장 파리 |
송기정 이화여대 불어불문학과 교수 |
||||
10/11 | 위화(余華), ‘<살아간다는 것>에서 <형제>로' | 김미정 경북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|
|||||
10/18 | 함석헌 <씨알의 옛글풀이> | 김시천 숭실대 베어드교양대학 교수 |
|||||
10/25 | 이탁오 <분서> | 임태홍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연구원 |
|||||
11월 | 11/1 | 아놀드 토인비 <역사의 연구> : 도전과 응전 |
황보영조 경북대 사학과 교수 |
||||
11/8 | 니체 <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> : 대지와 운명에 대한 사랑을 노래하다 |
정낙림 경북대 철학과 교수 |
|||||
11/15 | 마르쿠제 <에로스와 문명> | 박구용 전남대 철학과 교수 |
|||||
11/22 | 마르틴 하이데거 <존재와 시간> | 신승환 가톨릭대 철학과 교수 |
|||||
11/29 | 김수영, 시로 쓴 자서전 | 김응교 숙명여대 기초교양학부 교수 |
|||||
12월 | 12/6 | 콜로키움-인공지능과의 동거 | 이영의 | 김종갑 | 김운하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