운영계획

수성인문학@Suseong은 범어도서관 10개년(2020~2029) 인문특화프로그램으로 인문고전을 비롯하여 자연과학, 기술과학 및 예술 등의 '융합인문학'을 주제로 진행됩니다. 2022년에는 고전 텍스트를 중심으로 근대화 현대시대 '고전' 작품을 통해 현대사회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찾을 수 있는 성찰의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.
2022년 수성인문학@SUSEONG
- 일시 : 3. 2. ~ 12. 7. 매주 수요일 오후2시~4시
- 장소 : 범어도서관 김만용박수년홀(지하1층)
- 내용 : 근대·현대시대 고전 작품 강연
세부일정
주제 | 구분 | 날짜 | 강연주제 | 강사 |
---|---|---|---|---|
근·현대 | 고전을 통해 본 근현대의 갈림길 |
3.2. | 60회 칸트 「판단력 비판」과 포스트 모더니즘 | 김석수 (경북대 교수) |
3.16. | 61회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「지킬박사와 하이드씨」와 스코틀랜드 칼뱅주의 종교개혁의 유산 |
윤혜준 (연세대 교수) |
||
3.23. | 62회 에릭 홉스 봄 「혁명의 시대」: 프랑스 혁명과 민주주의 | 박윤덕 (충남대 교수) |
||
3.30. | 63회 백석 「사슴」:식민지 시인의 이주, 정념 그리고 시 | 박수연 (충남대 교수) |
||
4.6. | 64회 정인보 「양명학 연론」: 허식과 가짜를 넘어 ‘실심실학’으로 | 최재목 (영남대 교수) |
||
4.13. | 65회 경세가 다산이 <논어>를 읽는 방법 :「논어고금주」 | 추제협 (계명대 교수) |
||
4.20. | 66회 제인 오스틴의 연애학 개론: 「오만과 편견」 | 원영선 (서울여대 교수) |
||
4.27. | 67회 찰스 다윈 「종의 기원」: 생명의 다양성과 인간 소멸의 자연학 | 권덕기 (경북대 교수) |
||
5.4. | 68회 헤겔 「정신현상학」:진리는 전체다 | 최신한 (한남대 교수) |
||
5.11. | 69회 일제패망과 한국 부활의 참언: 신채호 「용과 용의 대격전」 | 김주현 (경북대 교수) |
||
5.18. | 70회 펄S.벅의 「대지」로 읽는 근현대 중국 | 허정애 (경북대 교수) |
||
5.25. | 71회 최한기 「기학」: 주자학의 시대에서 새로운 시대로 | 김용헌 (한양대 교수) |
||
6.8. | 72회 윌리엄 포크너 「더 사운드 앤 퓨어리」 :소리와 분노 | 강희 (대구대 교수) |
||
6.15. | 73회 토지 공개념의 원천 : 헨리 조지 「진보와 빈곤」 | 김윤상 (경북대 교수) |
||
6.22. | 74회 헤겔 「법철학」과 자유 | 정미라 (전남대 교수) |
||
6.29. | 75회 (생태인문) 피터싱어, 「실천윤리학」 | 박상혁 (동아대 교수) |
||
7.6. | 76회 [생태인문] 한스 요나스, 「책임의 원칙」 | 김종국 (인천교대 교수) |
||
7.13. | 77회 [생태인문] 함석헌의 생태와 생명사상 | 김상봉 (전남대 교수) |
||
7.20. | 78회 [생태인문] 동양사상과 생태미학 | 신정근 (성균관대 교수) |
||
7.27. | 79회[인문좌담회]원작이 있는 영화 「인생」: 중국 근현대사 그리고 삶의 의미 | 윤재석 외 2명 (경북대 교수) |
||
고전을 통해 본 현대와 미래 | 8.3. | 80회 파트리크 모니아노 <어두운 상점들의 거리>:기억의 예술 | 김성택 (경북대 교수) |
|
8.10. | 81회 최제우<동경대전>:고난의 시대, 사람을 하늘로 모시다 | 김용휘 (대구대 교수) |
||
8.17. | 82회 하이데거 <존재와 시간>: 있음의 의미와 일상의 삶 | 신승환 (가톨릭대 교수) |
||
8.24. | 83회 나스메 소세키 <나는고양이로소이다>: 소세키의 인생과 작품세계 | 박승주 (하루대표) |
||
8.31. | 84회 에드거 스노 <중국의 붉은 별>을 통해 본 중국공산당의 역사 | 손재현 (경북대 교수) |
||
9.7. | 85회 쏘스타인 베블렌의 <유한계급론> | 박경로 (경북대 교수) |
||
9.14. | 86회 오르한 파묵의 작품세계와 대표작 <내 이름은 빨강> | 이난아 (한국외국어대 교수) |
||
9.21. | 87회 김원일 <마당 깊은 집>: 길남이의 집은 어디인가? | 양진오 (대구대 교수) |
||
9.28. | 88회 아도르노 <계몽의 변증법>: 계몽을 계몽하라! | 이병탁 (경운대 교수) |
||
10.5. | 89회 막스베버 <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정신> | 나인호 (대구대 교수) |
||
10.12 | 90회 무라야마 하루키 월드에서 온 5편의 영화 | 조헌구 (경북대 교수) |
||
10.19. | 91회 장지연 <조선유교연원> | 홍원식 (계명대 교수) |
||
10.26. | 92회 사뮤엘 베켓 <고도를 기다리며> | 정문영 (계명대 교수) |
||
11.2. | 93회 오르테가 이 가세트 <대중의 반역> | 황보영조 (경북대 교수) |
||
11.9. | 94회(유학) <논어> 공자와 함께 인간다움을 생각하다 | 박경환 (한국국학진흥원) |
||
11.16. | 95회(유학) <사기> 사마천과 함께 역사를 생각하다 | 김병준 (서울대 교수) |
||
11.23. | 96회 (유학) <도덕경> 노자와 함께 환경생태를 생각하다 | 김시천 (상지대 교수) |
||
11.30. | 97회 (유학) <맹자> 맹자와 함께 인간 본성을 생각하다 | 이상호 (한국국학진흥원) |
||
12.7. | 98회[인문학콜로키움]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<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> |
정문영 외 2명 (계명대 교수) |